본문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좌측메뉴 바로가기


트위터 페이스북

CBNU뉴스

홈 뉴스센터 CBNU뉴스
총 게시물 940 개    페이지 1 / 94
CBNU 뉴스 목록
제목 작성일 조회수
건축공학과 학생들, 2023건축 친환경설비 기술공모전 최우수상 수상의 사진 건축공학과 학생들, 2023건축 친환경설비 기술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건축공학과 3학년 학생들(지도교수 건축공학과 서동현, 임정아)이 지난 11월 10일(금) 부산대에서 열린 ‘2023년 건축친환경설비기술공모전’에서 다수 수상하는 쾌거를 거뒀다. 이번 공모전은 전국의 관련 학과에서 약 70편의 작품을 출품해 1, 2차 예비심사를 거친 후 선발된 최종 8팀이 발표평가로 현장에서 최종 등수가 결정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충북대 학생팀이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뒀다. 먼저 최우수상을 받은 전경민, 신민규, 정지훈 학생팀은 ‘중복도 건물의 환기성능 개선 및 제연 계획’이라는 제목으로 오래된 건물의 전형적인 유형중 하나인 중복도건물에서의 환기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솔라침니(태양굴뚝) 원리를 적용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론적 계산, CFD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제안한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제시해 수상하게 됐다. 또한, 안민혁, 김현욱, 길태양, 이윤호, 학생팀은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적용방안 개발’ 아이디어를 제출하여 장려상을 수상했으며, 특선에는 ▲김태영, 방성호, 조민혁 학생팀 ▲박유빈, 정유진, 최은서 학생팀, 입선에 ▲심소정, 박지현, 우정민 학생팀 ▲강민, 국태현, 이재우 학생팀 ▲백승원 학생 등 3팀이 수상해 총 7팀이 수상했다. 지도교수인 서동현 건축공학과 교수는 “건축공학과는 2학년 건축설계, 3학년 공학설계, 4학년 캡스톤디자인 등 일련의 체계적이고 실무에 기반한 차별화된 건축공학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전국단위 공모전에서도 수상실적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탁월한 수상실적의 이유를 해석했다. 한편, 건축친환경설비기술공모전은 전국의 건축환경 및 설비 관련 학과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건축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친환경 건축기술의 적용 시 공학적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발굴하고자 매년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가 주최하고 그린빌딩협의회가 후원하여 진행되고 있다. 2023.11.30 41
우리 대학 학생들, 2023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다수 수상의 사진 우리 대학 학생들, 2023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다수 수상 우리 대학 학생들이 지난 11월 9일(목) 한밭대학교 창의혁신관에서 개최한 ‘한밭대학교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 mini 공학페스티벌’에서 다수 수상했다. 이번 경진대회에는 그루트팀(소프트웨어학부 4학년 손영재, 권성민, 정종현, 지도교수 홍장의)과 다학제융합팀이 벨로즈팀(기계공학부 3학년 박주성, 임재현, 윤준상, 조성채, 4학년 전준현, 2학년 전태우, 정용수, 이강현, 지능로봇공학과 2학년 장준혁, 전자공학부 4학년 전충재, 지도교수 기계공학부 조정호)이 참여해 수상했다. 그루트팀은 “AI 영상편집을 통한 실시간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을 주제로 금상(한밭대학교 총장상)을 수상했다. 그루트 팀은 지난 SW중심사업단에서 주최한 경진대회에서도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번 대회에서도 소프트웨어적인 기술성과 완성도, 시장성, 사업화 가능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수상으로 오는 11월 22일(수)에 개최되는 “2023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본선 특별상 작품으로 추천되어 기관장상도 수상할 예정이다. 또한, 벨로즈팀은 “1인승 자율주행 전기차”라는 작품으로 동상(한밭대학교공학교육혁신센터장)을 수상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공학교육혁신협의회가 주관하는 대회로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컨소시엄 및 참여대학의 공동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우수 작품을 발굴하고, 공학도 간 서로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성과물의 수준 및 완성도를 높이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했다. 컨소시엄 주관대학인 한밭대를 비롯해 참여대학인 충북대, 한남대, 한동대, 홍익대(세종) 등 전국 73개 대학이 참여해 우수한 캡스톤 디자인 작품을 선보였다. 2023.11.29 147
화학과 김철재 교수 연구팀, 분해성을 갖는 고분자 골격 구조 입체성 조절 합성법 개발의 사진 화학과 김철재 교수 연구팀, 분해성을 갖는 고분자 골격 구조 입체성 조절 합성법 개발 화학과 김철재 교수 연구팀이 분해성을 가지는 고분자 골격 구조의 입체성을 완전히 조절한 합성법을 개발했다. 이 논문은 화학과에서 단독으로 진행한 연구로 화학과 김철재 교수와 구본우(석박사 통합 4년, 제1저자)씨가 참여했다. 김철재 교수 연구팀은 ‘Synthesis of Stereocontrolled Degradable Polymer by Living Cascade Enyne Metathesis Polymerization’라는 제목의 논문을 통해 친환경 및 의료용 고부가가치 소재의 필수적인 특성인 분해성을 가지는 고분자를 잘 제어하여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N,O-아세탈 단량체 구조를 설계하고, 입체적 구조를 가지는 팔라듐 촉매를 이용하여 완전히 입체성이 조절된 단량체를 합성했다. 이를 이용해 루테늄 촉매를 이용한 조절 중합법을 통해 단량체의 투입을 조절한 입체적 골격 구조를 가지는 분해성 고분자를 구현했다. 입체성이 잘 조절된 고분자 소재는 향상된 물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광학적 응용과 광학 활성체의 합성 및 분리, 입체성을 이용한 생체 분자와의 상호작용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분해성 단량체는 분해가 되지 않는 단량체 및 기존의 노보넨 단량체들과 성공적으로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구현, 다양한 기능성 고분자 소재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합성으로 만들어진 고분자 구조에 Diels-Alder 반응을 통한 추가적인 기능화가 가능하다는 것도 구현해 응용 가능성을 증대시켰다. 한편,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화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안게반테 케미 인터내셔널 에디션’에 지난 11월 13일(월)자로 실렸다. 2023.11.29 118
미생물학과 구성원들, 2023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서 다수 수상의 사진 미생물학과 구성원들, 2023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서 다수 수상 미생물학과 박대영 초빙교수와 메이사 임암 압델마지드 모하메드(석사 과정생, 지도교수 김양훈)씨가 지난 11월 06일(월)부터 11월 08일(수)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Young Investigator상(YI Awards)과 우수 포스터 발표상(Excellent Poster Award)을 수상했다.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박사과정생과 박사 후 과정 펠로우의 젊은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그간의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향후 주목할 만한 연구자들을 선정하여 정기학술대회에서 Young Investigator 상을 시상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박대영씨는 총 6인의 YI session 구두발표자로 선정되어 'Structure based innovative approach to analyze aptaprobe–GPC3 complex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간암에서의 aptaprobe–GPC3 복합체 구성 분석을 위한 구조 기반 혁신적 접근법 연구)라는 주제로 YI session에서 발표했다. 본 주제는 in silico 3차원 구조분석법을 활용하여 앱타머 기반의 간암 진단 플랫폼을 구성한 연구로 앱타머 소재의 질병 진단 분야로의 활용 가능성과 in silico 3차원 구조분석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결과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메이사씨는 'Universal Aptamer Against the Glycoprotein (GP) of Ebola Virus using Comparative Genomics and in silico Docking Approach'(비교 유전체학 및 in silico 도킹 접근법을 활용한 에볼라 바이러스 당단백질에 대한 범용 앱타머)라는 연구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해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했다. 본 주제는 자이르, 수단, 타이 포레스트 및 분디부기요 에볼라 바이러스의 네 가지에 모두 공통으로 나타나는 당단백질에 범용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앱타머 소재를 개발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in silico 3D docking prediction과 다양한 in vitro 실험 기법이 함께 활용되었다. 이 또한 in silico 연구의 향후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목을 받았다. 한편,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정회원 5,500명, 학생회원 10,700명을 포함하여 산·학·연 분야 약 18,000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5개 지역 분회, 20개 학술분과, 5개의 준분과가 활동하고 있다. 또한 매년 국제학술대회와 동계학술대회를 통해 활발한 학술 교류를 하고 있다. 2023.11.29 139
LINC3.0사업단, 2023 산학협력 우수사례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의 사진 LINC3.0사업단, 2023 산학협력 우수사례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LINC3.0사업단이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3 산학협력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인력양성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산학협력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관∙단체를 발굴하여 산학협력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자 마련됐으며, LINC3.0 사업단은 기업수요 맞춤형 교육을 통해 지역정주 인력 양성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아 우수상을 수상했다. 유재수 LINC3.0사업단장은 “유범선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노희주 선생의 열정과 훌륭한 파트너쉽에 감사한다. 이번 성과는 기업맞춤형트랙을 위해 기업을 발굴하고, 잘 운영하여 우수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한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지금까지의 산학협력 성과를 기반으로 앞으로도 지자제와 협력하여 더욱 지역산업체의 수요에 부응하며 산학협력을 강화하여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LINC3.0사업단은 대학과 기업이 상생·발전할 수 있도록 산학연협력 체계를 고도화하며 공유협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 산학연협력 선도대학으로써의 역할을 착실히 수행해 2018년 기술협력부문, 2019년 인력양성부문, 2021년 인력양성부문, 2022년 기술협력부문 수상에 이어서 이번에도 인력양성부문에서 수상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향후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체계에서도 그동안의 LINC사업 추진성과가 연계되도록 지역정주 인재양성에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 2023.11.28 111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제4회 농업용 로봇경진대회 대상 수상의 사진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제4회 농업용 로봇경진대회 대상 수상 바이오시스템공학과 학생들이 지난 11월 3일(금) 여수 히든베이 호텔에서 진행된 ‘제4회 농업용 로봇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해 시상금 300만원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을 받았다. 바이오시스템공학과 학생들은 ‘얼굴 같은 내 사과(팀장 이정재, 곽안나, 김완택, 김하나, 이지우(이상 4학년), 임완태(3학년), 지도교수 노현권)’라는 팀으로 참가했으며, 트랜스봇을 기반으로 2대의 Depth Camera와 Jetson Orin Nano를 활용한 이미지 인식 및 YELO v5 기반 딥러닝 연산과정을 통해 임무를 원활히 수행해 대상을 받았다. ‘농업용 로봇 경진대회’는 지난 11월 2일(목)부터 11월 3일(금)까지 개최된 추계 농업기계학회의 일부로 진행된 행사로 전국의 농업기계공학과 관련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이 참여해 정해진 경로를 이동하며 과일을 검출 및 계수하는 능력을 가진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하고 경기장에서 임무 수행능력을 겨루는 대회다. 사단법인 한국농업기계학회에서 주관하고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Daedong, TYM, LS엠트론, 한국쓰리축에서 후원한다. 2023.11.27 177
토목공학부 학생들, 2023년 K-water 대국민 물 빅데이터 공모전 우수상 수상의 사진 토목공학부 학생들, 2023년 K-water 대국민 물 빅데이터 공모전 우수상 수상 토목공학부 학생들이 지난 10월 11일(수) 수자원공사 대전본사에서 개최된 2023년 K-water ‘대국민 물 빅데이터 공모전’ 최종 경연에서 데이터 융합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토목공학부팀은 3학년인 박주영, 김태헌, 박영서, 신창혁, 임유리 학생으로 구성됐으며, ‘LSTM 기반 대청호 수질오염 예측 및 평가’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해 상을 받았다. 이들은 Long Short-Term Memory(LSTM)를 활용하여 대청호의 총유기탄소(TOC)를 예측하기 위해 인근 유역인 이원, 장계 관측소의 수질인자를 포함하여 총 15개의 영향인자를 입력 자료로 선정하고, 상관도 분석을 통해 상관도가 낮은 인자부터 하나씩 입력 자료에서 제거하여 모델을 학습시켰다. 또한 당일의 계측치로부터 미래의 예측치를 도출하는 예측선행시간에 따른 수질 예측의 정확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기간을 다양하게 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해당 공모전은 K-water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물관리 현안을 해결하는 것을 주제로, 데이터 융합 부문과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 중 데이터 융합 부문에서 ‘LSTM 기반 대청호 수질오염 예측 및 평가’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수행 결과 총 15개의 입력 자료들 중 상관계수 하위 6개 수질 영향 인자를 제거하여 9개의 수질인자를 입력 자료로 선정한 Case 6의 예측 정확도가 가장 높았고, 예측선행시간 1일 뿐만 아니라 2일, 3일까지도 충분히 정확하게 예측 가능했다. 한편, ‘대국민 물 빅데이터 공모전’은 K-water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물관리 현안을 해결하는 것을 주제로, 데이터 융합 부문과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부문으로 나눠 진행했다. 2023.11.27 181
건축공학과 학생들, 한국건설관리학회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다수 수상의 사진 건축공학과 학생들, 한국건설관리학회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다수 수상 건축공학과 4학년 학생들이 지난 11월 2일(목)부터 11월 3일(금)까지 강원도 고성 소노캄 델피노에서 개최한 한국건설관리학회가 주최하는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에서 다수 수상했다. 이명석, 조병호(지도교수 김옥규) 학생은 ‘4M 위험성 평가를 통한 모듈러 공장제작 단계의 안전사고 원인 분석 및 대응 방안’을 주제로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는 건설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안전 확보에 대한 내용이다. 공장에서 생산하는 모듈러 건축의 생산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을 하지만 공장에서 생산하는 건축물도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불안전한 요인을 4M 위험성 평가 방법이라는 과학적인 기법을 사용해 제거했다. *4M 위험성 평가: 인적(Man), 기계적(Machine), 물질·환경적(Media), 관리적(Management) 송사랑(지도교수 김민구) 학생은‘웨어러블 센서를 활용한 건설 현장 고소작업자 안전 고리 체결 판단'을 주제로 장려상을 백종헌(지도교수 김민구) 학생은 '웨어러블 센서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건설 현장 고소 작업자 안전 고리 체결 판단'을 주제로 장려상을 수상했다. 이 두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주요 재해 요인인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고리 체결을 소리데이터 기반으로 분류하고, 이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분류 성능 향상을 진행했다. 한편, 한국건설관리학회가 주최하는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는 매년 11월 전국 건축토목공학 등 건설 관련 대학생들이 참여해 논문건설아이디어원가관리공정관리 등 4개 부문에서 진행하며, 올 해에는 전국대학생이 제출한 70편의 포스터 중 대상 1편, 최우수상 4편, 우수상 10편, 장려상 15편 등 총 30명을 수상했다. 2023.11.24 393
건축학과 학생들, 제1회 GH공간복지 청년 설계공모전 금상 수상의 사진 건축학과 학생들, 제1회 GH공간복지 청년 설계공모전 금상 수상 건축학과 박지호, 이지우(4학년, 지도교수 이상훈)학생이 지난 11월 1일(수) 경기도 수원시 경기주택공사(GH) 본사에서 진행된 ‘2023 제1회 GH 공간복지 청년 설계공모전’ 시상식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박지호, 이지우 학생은 ‘21세기 상회’를 주제로 출품해 상을 받았다. 이 작품은 청년 구멍가게를 통한 생활밀착형 공간복지 실현을 제안하는 계획안이다. 이 프로젝트는 기존 구멍가게의 특성 및 개념에 따라서 GH 매입임대주택을 리모델링하여 생활 인프라의 거점을 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함께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한 것이 특징이다. 청년들을 주체로 하여 구도심 속의 공간을 발굴하고, 이후 이 21세기 상회를 중심으로 확장되고 장기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한 점이 강점으로 나타난다. 이번 시상으로 학생들은“소프트웨어적인 설계를 처음 해봤는데 좋은 결과가 있어 기쁘다”며 “기간까지 계획하는 구체적인 안을 제안하며 실현 가능성을 고려해보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GH 공간복지 청년 설계공모전’은 청년들과 공간복지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새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수렴을 위해 ‘GH 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내 공간복지 모델 설계’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총 67개의 작품 중 20팀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2023.11.21 412
화학공학과 학생들, 제 12회 전국 화학공학 공정설계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의 사진 화학공학과 학생들, 제 12회 전국 화학공학 공정설계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화학공학과 4학년으로 구성된 ‘오성과 하은음(배성윤, 유은욱, 오민경, 정하권, 지도교수 문종호)’팀이 한국화학공학회에서 주최하고, 아비바코리아, LG화학, 삼성엔지니어링, SK에너지,한화토탈에너지스가 후원하는 ‘제12회 전국 화학공학 공정설계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인 LG화학상과 상금 3백만원을 받았다. 오성과 하은음팀은 그린수소와 블루수소 생산공정을 공정 모사 프로그램인 AVEVA Process Simulation(APS)을 활용해 모사했으며, 매틀랩(MATLAB)과 연동하여 각 공정의 경제성 및 환경성을 비교 분석했다. 특히, 기존의 수소 생산 공정에 탄소세, 배출권거래제, 신재생에너지 도입 등을 적용해 2050년까지의 경제성과 환경성을 모형을 통해 예측한 것이 좋은 점수를 받았다. 이번 대회는 1차심사와 2차심사를 거쳐 평가를 받았으며, 시상식은 지난 10월 26일(목)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화학공학회 2023년도 가을총회 및 국제학술대회’에서 진행됐다. 한편, 화학공학과는 지난 ‘제11회 전국 화학공학 공정설계 경진대회’에서도 P.E.T팀(강태하, 주우현, 유지윤, 김지홍, 지도교수 문종호)이 대상(한국화학공학 회장/AVEVA상)을, E80팀(김재훈, 이성지, 이현채, 조아현, 지도교수 문종호)이 장려상을 받는 등 2년 연속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2023.11.21 394
게시물 검색

퀵 링크